만능인 _유은순 (미학)

만능인 


백정기의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7년부터 작품을 톺아나가다 보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모티프와 작품 유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우제라는 인류의 오래된 문화를 바탕으로 사막에서 자신만의 제의를 펼치는 <기우제 프로젝트>(2008), 수신(水神)인 용과 관련된 기우제 전통의 여러 갈래를 과학 연구결과와 현대 기술에 접목시켜 본 <파상운>(2014) <침호두>(2019) <용소>(2019) <버섯기우>(2020), 자연에서 획득한 재료로 잉크를 만들어 디지털 사진을 인화하는 <Is of> 시리즈(2012, 2013, 2018, 2021, 2022, 2023), 촛불의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닭을 부화시키는 <촛불발전기와 부화기>(2015, 2022, 2023), 세계 각국에 있는 동상이나 철제 다리, 탱크 등을 안테나 삼아 소리를 수신하는 <메모리얼 안테나> 시리즈(2011, 2018)와 그 연장선에서 직접 제작한 동상을 송신기로 이용하여 사운드를 전파하는 <능동적인 조각>(2022, 2023) 시리즈가 그러한 예이다. 

2023년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 개최되는 12번째 개인전 《올인원》에서 선보이는 세 작품 시리즈 역시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 선보이는 시리즈는 아니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Is of>는 2012년, <촛불발전기와 부화기>은 2015년, <능동적인 조각>은 2022년부터 시작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번 개인전이 새롭지 않은 것은 아니다. 하나의 모티프를 여러 번 반복해 나가거나, 동일한 주제 의식으로 다양한 시리즈를 제작하는 것은 흔한 작업 방식이지만 백정기의 작품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작품을 제작하면서 전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공정과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습득해 나가면서 작품을 개선시켜 나간다. 다수의 작가들이 아이디어를 개진시켜 나가면서 필요한 기술을 전문 업체나 기술자를 고용하는 것과는 달리 백정기는 대부분을 자신의 손으로 해내며 분기점마다 새로운 실험을 거듭한다. 


촛불발전기와 부화기

촛불을 이용하여 달걀을 부화시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제작한 <촛불발전기와 부화기>는 2015년 두산갤러리 개인전 《Mind Walk》에서 처음 시도되었다. 촛불의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시도는 바로 전 해인 2014년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전 《초자연》에서 선보인 <파상운> 작품에서 처음 이루어졌다. 작가는 라디오 송출기와 증폭기에 사용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촛불을 사용하였다. 촛불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염원을 시각화하는 요소로 사용된다. <파상운>에서는 촛불을 거치하기 위한 좌대를 넓게 제작하여 열에너지가 공간으로 퍼져나가 열손실의 위험이 있었고, 안전에도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그러나 <촛불발전기와 부화기>에서는 개별 양초마다 특수 제작한 내열 유리로 감싸고 위에는 열에너지를 포집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여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모으는 한편, 불이라는 불안정한 물질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한다.

2015년 버전 <촛불발전기와 부화기>에서 작가는 촛불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되, 에너지를 공급하는 대상을 부화기로 전환하였다. 12지신 중 하나인 닭은 민간신앙에서 여러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닭은 새벽을 알리는 상서로운 동물로 어둠과 밝음, 밤과 낮의 경계에서 “액을 물리치는 여명과 축귀의 상징”이며, 때를 알리는 “예조의 능력”을 지닌다. 이와 더불어 달걀과 닭이라는 반복을 통해 생의 순환 원리를 암시한다는 점에서 재생의 상징이었다. 작가는 이를 시련과 극복의 은유로 끌어들인다. 부화기는 파이프로 제작된 모듈 좌대에 평범한 외관의 나무 상자로 제작되었고 촛불 받침대도 기능성에 초점을 두고 제작되었다. 

2022년 버전에 이르러 작가는 사찰에서 찾아볼 수 있는 석등을 연구하는 한편, 여러 지역의 사찰을 방문하여 석등을 3D로 스캐닝하고 모양을 조합하고 형상을 창출하여 3D프린터로 출력한 후 파이프와 접합하여 부화기와 촛불 발전기의 구조를 만들었다. 석등은 관가나 분묘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종교적인 장소인 사찰에서는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기능뿐만 아니라 부처의 진리로 어두운 마음을 밝혀 인간의 어리석음을 없애는 상징적 조형물로서 불교의 가르침을 내포한다. 불빛은 불광(佛光)을 상징하는데, 작품에서 염원을 상징하는 촛불이 석등을 밝힌다는 점에서 단순히 일방향적 진리를 설파하는 것에서 나아가 진리와 염원의 순환성을 달성한다.

작가는 그동안 미술관이나 박물관, 고궁, 사찰 등을 방문하고 방대한 자료 조사를 통해 기우제와 같은 국가 행사나 전통 문양에 대한 의미를 좇아왔다. 그러다 재료적 속성이나 전통적인 믿음에 자신의 해석을 더해 사물이나 색채에 다른 상징을 부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예는 2020년 갤러리 이알디에서 개최되었던 개인전 《남단》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서양에서 용은 불을 상징하지만, 동양에서 용은 물을 상징한다. 가뭄이 들 때면 용을 그리거나 용신에게 제를 지내며 비가 내리길 기원하였다. 그래도 비가 오지 않으면 용의 천적인 호랑이 머리뼈를 용소(용이 머무는 장소, 주로 강)에 넣는 침호두를 거행하거나 용을 대신하여 살아있는 도마뱀을 항아리에 넣고 막대기로 항아리를 두들기면서 비를 내려주지 않으면 보내주지 않겠다는 주문을 외우면서 용의 심기를 건드렸다고 한다. 용은 호랑이 외에도 철, 망초, 지네, 연엽, 오색비단실을 두려워하는데, 작가는 이에 착안하여 《남단》전에서 지네를 닮은 식물인 지네발란으로 문양을 제작하여 전시장 입구를 장식하였다. 도마뱀으로 용을 대신하듯, 지네발란으로 지네를 대신해본 것이다. 

전시장에 설치된 <버섯기우>는 과학적 연구결과와 전통적인 믿음을 결합한 예이다. 버섯은 포자를 공기로 날려 번식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분을 끌어당겨 비를 내리게 한다는 식물학자의 연구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다. 작가는 이러한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버섯을 위한 제단을 만든다. 조상이나 신을 모시는 제단인 감실을 현대 기술로 재해석하고 온실 기능을 만들어 그 안에서 버섯을 키웠다. 전시 기간 동안 버섯이 자라나 공기순환장치를 통해 포자가 외부로 퍼져 나간다. 작가는 주술적인 의례에서 그쳤던 기우제에 과학적 사실을 더해 새로운 기우제의 형식을 창안하고, 포자들이 퍼져 나가 하늘에 닿는 비가시적인 현상과 하늘에 비는 기도를 등치시킨다. 한편,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감실과 촛불 발전기에 장착되는 모듈을 제작하면서 바세린의 연한 노란색을 차용하였다. 모델에게 바세린으로 투구나 갑옷, 글로브를 씌워 촬영한 사진 연작 <Untitled (Vaseline Armor)>(2007), 전시장 벽면에 진흙을 바르고 말린 후 생겨난 균열에 일일이 바세린을 바른 <Pray for Rain>(2015)에서는 바세린이라는 물질을 직접 활용함으로써 기능적인 측면의 연장선에서 “보호와 치유”를 의미했다면, 이제 바세린의 색 그 자체로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작가가 오랜 시간 재료를 연구하고 체화해 나가며 상징을 부여해본 것이다. 2023년 버전의 <촛불발전기와 부화기>에서도 석등과 촛대를 바세린의 연한 노란색으로 제작함으로써 시련을 무사히 극복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생명이 안전하게 탄생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는다.


능동적인 조각

<능동적인 조각> 연작은 전신인 <메모리얼 안테나>와 대응되는 작품이다. 2011년부터 시작된 <메모리얼 안테나> 시리즈는 야외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금속 조형물 - 동상, 다리, 탱크 등 - 을 안테나로 활용하여 라디오를 수신하는 작품이다. 오브제의 위치와 크기처럼 보이는 특징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특징(특정 주파수를 만들어내는 재료의 성질과 밀도 등)을 소리로 감각화한다. 작가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조형물 중에서도 상징성이 강한 동상을 주로 선택한다. 어떤 사건이나 존재를 기념하기 위해 주로 제작되는 동상은 원존재가 미치는 영향력에 따라 수명이 좌우된다. 세계를 구한 영웅이 문화적,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 따라 철거되기도 하고 관리 주체의 문제로 방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미지를 한 꺼풀 벗겨내고 나면 동상은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물질 덩어리이다. 백정기는 동상을 안테나로 활용하여 잠재된 사운드를 가시화함으로써, 동상의 외형이 가진 의미나 상징 대신 재료의 물질성에 주목하도록 만든다. 이를 통해 존재의 의의를 재고하게 만든다.

작가는 약 10여년에 걸쳐 <메모리얼 안테나> 아카이브까지 완료한 후 2022년부터 <능동적인 조각>이라는 작품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여러 지역의 동상을 3D 스캔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변형된 동상을 제작한 후 이를 송신 안테나로 활용하여 작가가 제작한 사운드를 주변으로 송출하는 작품이다. 수신에서 송신으로의 전환은 작가가 이때까지 쌓아온 여러 지식들을 수용하는데서 벗어나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고 보다 ‘능동적’으로 작품을 구상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동상은 기존의 외형을 본떴지만 그대로 제작되지는 않는다. 어딘가 무너져 있거나 원래는 없던 모양이 덧붙여진다. 이는 <촛불발전기와 부화기>에서 다양한 석등을 조합한 것과 마찬가지로 작가가 전통적인 의미들을 수용하면서도 온전하게 수용하기보다 나름대로 해석하고 발전시키려는 의지로서 지네발란 형상이나 바세린의 성질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얼 안테나>에서는 오브제에 따라 주파수가 무작위로 잡힌 사운드를 들을 수 있었다면 <능동적인 조각>에서는 작가가 제작한 사운드가 송출된다. 작가는 선입견으로 자리 잡은 물질의 객체성을 무너뜨리고 생기적 물질성으로 물질을 이해하는 제인 베넷의 입장을 수용하고 재료와의 대화를 은유하는 소설을 장소통역사(최추영, 익수케)에게 의뢰하였고 그 결과 만들어진 세 편의 단편소설 - 한 번도 목격된 적이 없고 단지 52 Hz의 높은 주파수의 울음소리만을 남겨 외로운 고래라고 불리는 어느 고래에 관한 「52 Hz 고래」, 원효대사의 해골물에 관한 설화를 물질로서의 두개골과의 관계로 바꿔 이해하는 「원효대사의 두개골」, 외딴 섬에 홀로 뜻을 알 수 없는 말을 반복하는 앵무새에 관한 「안녕과 거기 있어」 - 을 송출하였다. 소설은 감각할 수 있/없고 만질 수 있/없는 물질의 생기에 귀 기울이고자 하는 인간적 태도를 암시한다. 2023년 버전에서 작가는 여섯 개의 동상을 한 자리에 모은다. 각각의 동상은 저마다의 주파수 대역으로 앞서 언급된 세 가지 단편 소설을 하나씩 송출한다. 각각의 동상은 저마다의 주파수 대역으로 소설과 더불어 첼리스트(이금희)의 첼로 연주곡을 함께 송출한다. 첼로는 사람의 목소리와 가장 비슷한 음역대의 악기라고 알려져 있는데, 팽팽하게 당겨진 금속 현을 진동시켜 소리를 낸다. 첼로 소리는 금속이 마찰하며 빚어내는 소리라는 점에서 인간의 목소리보다 동상, 나아가 물질에 더 가까운 소리이자 언어일 수 있다.


Is of

퍼스는 기호를 대상물과 맺는 관계, 대상물과의 물리적 관계, 해석체와의 관계에 따라 도상, 인덱스, 상징으로 구분한 바 있다. 도상 기호는 대상체와 닮음에 의해 성립되는 기호로써 대상체가 현실에의 존재유무와 관계없이 구성된다. 상징은 일반적 유형이나 법칙에 따라 대상체와 관계를 맺는 기호이고, 관념들의 연상작용에 의해 성립된다. 인덱스는 다른 기호와 달리 대상체와 실질적인 연관관계를 가진다. 퍼스는 따라서 인덱스가 “대상체와 단순히 닮은 것이 아니라 대상체를 통한 기호의 현실적 변형”이라고 규정한다. 크라우스는 『사진, 인덱스, 현대미술』에서 퍼스의 인덱스 개념을 아날로그 사진의 속성을 해명하기 위해 끌어들인다. 아날로그 카메라는 피사체에 닿은 빛이 렌즈를 통과하여 필름의 감광제에 닿아 잔상을 남긴다는 점에서 인덱스적인 속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가 개발되면서 사진은 인덱스적 속성을 상실한다. 디지털카메라는 렌즈에 들어온 빛을 전류 신호로 변환하므로 이미지는 대상과 직접적 연결을 잃고 0과 1로 변환된 기록만을 가진다. 

아날로그 카메라가 빛으로 인덱스적 속성을 반영한다면, 백정기의 사진은 디지털 카메라가 삭제하는 인덱스적 속성을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잉크로 부활시킨다. 그런데 자연에서 획득한 재료로 만든 잉크는 화학잉크보다 불안정하기 때문에 빛이나 산소에 의해 쉽게 변색된다. 초창기에는 변화하는 속성도 작품의 일부로 수용되었다. 2012년 <Is of: 설악산> 연작의 경우 단풍이 낙엽이 되듯 색이 모두 날아가 이제는 갈색의 희미한 흔적밖에 남아있지 않다. 이후 작가는 변색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한다. 2018년 <Is of: 가을> 시리즈에서 작가는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선 투명 레진(에폭시 수지)을 이용하여 사진 전체를 앞뒤로 도포하는 함침법을 적용하여 산소를 차단하는 한편, 전용 박스를 제작하고 변색을 가속화하는 자외선을 제거한 광케이블로 전용 조명을 제작하여 빛을 차단하였다. 사진이 변화하는 것들에 대한 “순간적 정지”라면 백정기는 이를 다시 변화로 이행시켰다가 다시 정지시키는 이중의 전술을 취한다. 아날로그 카메라는 대상의 현전을 빛으로 보증한다면, 작가는 대상의 현전이 색에 있으므로 빛을 차단해야 한다. 

대상의 현전과 부재는 이미지에 대한 작가의 관점과도 관계가 있다. ‘is of’는 작가가 2011년 아이파크 파운데이션 아티스트 레지던시에 있을 당시 동료 작가와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동료가 제안한 제목이라고 한다. ‘be of’는 속성이나 특징, 출처, 성격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표현이다. 작가는 제목으로 ‘is of’를 표기한 후 촬영된 지명을 후술하여 작품이 촬영된 장소, 즉 대상의 출처를 표기하지만 정작 앞에 주어를 누락시킨다. 주어의 누락은 대상의 부재를 뜻한다. 이는 작가가 관객에게 무엇을 보도록 하는지와 연관된다. 관객은 작품과 처음 마주하는 순간, 눈앞의 이미지를 처음 보게 되지만, 어딘가 색이 빠진 듯한 사진의 색감을 보게 되고 캡션을 통해 그것이 단순한 잉크가 아니라 작가가 제작한 잉크라는 사실을 알게 한다. 작가에게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는 이미지보다 이미지를 형성하는 재료이다. 이미지의 허상 대신 재료의 기원을 드러냄으로써 작가는 이미지에 덧씌워지는 신화를 벗겨내고자 한다. 

<Is of>는 단순히 천연색소를 잉크삼아 출력된 사진이라고만 설명될 경우 색소를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작가의 실험과 노동을 간과하는 것이다. 작가는 설악산, 내장산 등에서 천연재료를 직접 구해 혼합물을 분리하는 크로마토그래피 기법을 활용하여 색소를 추출한다.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색소와 알코올, 유화제 등을 섞어 제작한 잉크는 프린터에 공급되어 사진으로 출력된다. 현재는 꼭 사진이 촬영되었던 장소에 한정하여 재료를 구하는 것은 아니고 소매점 등에서 식물을 구입하기도 하지만 이는 잉크를 더 잘 개발하기 위해 재료에 제한을 두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천연색소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는 프린팅 기술을 거듭 연구하고 개량한다. 2012년 대안공간루프에서 <Is of: 설악산>을 전시할 당시 작가는 작업실을 그대로 옮겨 놓듯 전시장에 색소 추출 기기와 출력기를 설치하여 작업 과정을 암시하는 동시에 이미지 너머 재료를 감각하도록 유도하였다. 액자가 아니라 나무 합판에 유리를 덧대어 사진을 전시한 이유도 식물 샘플을 압착하는 방식을 차용함으로써 사진보다는 재료의 물성을 강조하기 위한 연출이었다. 


만능인

백정기는 작품 제작에 필요한 지식을 오랜 시간 천천히 습득하고 자신의 기술로 체화해 왔다. 민속학, 종교학, 생물학, 철학, 음향학에 이르는 방대한 관심과 더불어 색소추출법,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치환하는 장치나 나아가 핵융합 기술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공정 중 어느 하나도 블랙박스로 남겨놓지 않는다. 작가가 인터뷰 때 언급했듯이 90%에 이르는 과정은 직접 참여했기에, 공정과 작동원리에 통달해 있다. 이는 작가의 작업실을 방문해보면 더욱 분명해진다. 과거 반찬제조공장이었던 건물을 직접 리모델링한 작업실은 2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층에는 조각과 설치를 위한 작업실과 창고가, 2층에는 컴퓨터가 놓인 서재와 응접실이 마련되어 있다. 마치 실험실을 방불케하는 1층의 작업실뿐만 아니라 2층의 책장에 꽂힌 다양한 책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제인 베넷의 『생동하는 물질』 옆에 『한국의 산나물』과 『1인 라디오 방송 만들기』가 나란히 꽂혀 있고 『중국전통건축 현어장식예술』부터 『8주 완성 작곡법』 『버섯종균기능사』까지 넓게 펼쳐진 주제와 분야를 살펴볼 수 있다. 

작가의 이러한 작업 태도를 보면 학문이 분과되기 이전의 시대, 르네상스 시대의 만능인(Homo Universalis)을 떠올리게 만든다. 알베르티는 초기 르네상스 만능인의 대표적인 예이다. 그는 운동 능력이 뛰어나 체조와 승마를 즐겼고,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했지만 작곡 실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고 한다. 물리학과 수학은 물론 세속법과 교회법까지 공부했으며 학자, 예술가, 구두수선공 등 직업의 귀천에 관계없이 그들의 경험과 기술을 배웠다. 조각과 회화는 물론 시, 단편소설, 연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글을 썼고 몇 개는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만능인은 여러 분야에 숙달한 인물을 의미한다. 현대에 이르러 학문은 분과되었고 하나의 기술을 완벽하게 익히기에도 힘들어진 시대가 되었다. 각 분과별 전문가는 자신들의 지식만을 앞세워 섣부른 결론을 내리고 전문화된 영역의 바깥으로 나서지 않는다. 백정기는 (예술을 위한) 예술에서 탈피하여 경계 없이 자신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식과 기술을 축적한다. 다른 이의 지식이나 기술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시대에 그는 무언가를 익히는 고단한 시간을 기꺼이 감내하면서 자신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간다. 그에게는 과거의 문화와 현대 기술, 축적된 지식이 어우러져 있다. 이러한 태도는 오래 전 사라진 만능인의 태도를 상기시킨다. 

이는 자신에게 주어진 한정된 재료로 스스로를 표현하는 손재주꾼(bricoleur)과도 닮아 있다. 목적에 맞게 고안된 연장과 재료를 사용하여 개념을 갖고 작업하는 엔지니어와는 다르게 손재주꾼은 가지고 있는 연장과 재료를 조합하고 때로는 이를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백정기는 <Is of>에서는 기존의 출력기를 해체하여 자신이 제작한 잉크를 덧붙이는 한편 <메모리얼 안테나>에서는 동상을 안테나로서 활용하여 기존의 인식이나 편견을 뒤집는다. 작가가 지식을 축적하고 기술을 쌓을수록 그가 조합하고 창안할 수 있는 주제와 형식의 갈래는 점점 확장된다. 

전시제목 《올인원》은 2018년 《접촉주술》전을 보고 권혁규 큐레이터가 쓴 동명의 리뷰에서 차용했다. 작가는 이번 개인전을 이때까지 시도했던 크고 작은 실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작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하나의 장으로 보고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는 키워드로 ‘물질’을 제안한다. 이는 ‘물질’을 수동적인 대상이 아니라 활력이 가득한 존재로 보고 ‘생기적 물질성(vital materiality)’으로 물질의 성격을 규정하는 제인 베넷의 주장을 바탕으로 한다. 작가가 작품마다 고안한 장치와 프로세스는 물질의 비/가시적인 변화와 순환을 담는다. ‘올인원’은 종교와 예술, 과학을 아우르며 탐구하고 자연의 모든 존재를 순환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백정기의 태도를 일컫는다. 필자는 여기에 작품에 소요되는 모든 과정을 자신의 손으로 온전히 해내려는 작가의 자세를 더하고자 한다. ‘올인원’은 개념적이고 주제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작가가 작품을 구상하고 제작하는 실천적인 측면에도 적용될 때에야 비로소 완결된 의미를 지닌다.

유은순(미학)



Homo Universalis


Recurring motifs and trends emerge from Beak Jungki’s oeuvre from 2007, which is the year that set the path of his career. Notable examples include <Pray for Rain Project> (2008), in which he devises his own ritual in the desert to invoke the long-held cultural tradition of rain-calling ceremonies; <Wave Cloud>(2014), <Chimhodu>(2019), <Yongso>(2019), and <Beo-sut Gi-woo>(2020), which grafts contemporary technology on to various strands of rain-calling rituals that involve the water deity of the dragon; the <Is of> series (2012, 2013, 2018, 2021, 2022, and 2023), in which he develops digital photographs with natural pigments; <Candle Generator & Egg Incubator> (2015, 2022, and 2023), wherein he hatches eggs by transforming candle heat into electric power; the <Memorial Antenna> series (2011 - 2018), which receives sound by using statues, metal bridges, and tanks in various countries as antennae; and the subsequent <Active Statue>(2022, 2023) series, wherethrough he transmits sound with the statues he personally produces. 

The three series that he presents at his 12th solo exhibition All in One, which takes place at Arario Gallery Seoul in 2023, have been previously shown through other occasions. As noted above, <Is of>, <Candle Generator & Egg Incubator>, and <Active Statue> respectively began in 2012, 2015, and 2022. This is not to say that the solo exhibition has nothing new to offer. While using recurring motifs or producing series as variations of an overarching theme is a common practice, Beak’s works show – upon close scrutiny –incremental enrichment through process-oriented learning. Unlike artists who focus on ideation and outsource their handiwork to individual technicians or companies, Beak directly engages with the materials in a hands-on manner, attempting new experimentations at each new junction.    


Candle Generator and Egg Incubator

<Candle Generator & Egg Incubator>, produced with the idea of hatching eggs with candles, debuted at his 2015 solo exhibition Mind Walk, held at Doosan Gallery. The attempt to transform candle heat into electric energy was first showcased the previous year in <Wave Cloud>, which he introduced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2014 Special Exhibition Super Nature. Beak used candles to power radio transmitters and amplifiers. Candles are usually mobilized to visualize people’s yearnings. <Wave Cloud> featured a wide pedestal to display the candles, risking heat loss and safety hazards. <Candle Generator & Egg Incubator>, however, encases each of the candles in custom-made heat-resistant glass and covers them with heat retaining devices to ensure energy containment, devising ways to safely control the unstable phenomenon of fire.   

The 2015 version of <Candle Generator & Egg Incubator> still uses candles as an energy source, but here the powered object is an egg incubator. The chicken, as one of the deities in the Twelve Earthly Branches, harbors various symbolic meaning in folk religion. An auspicious animal that announces dawn with “the ability to prophesize the future,” the chicken is a “symbol of dawn that exorcizes evil and keeps misfortune at bay” at the crossroads of darkness and light, night and day.  Also, the chicken is the symbol of regeneration in its allusion to the cycle of life as it shuttles between the cycle of egg and grown form.  Beak uses the chicken and its circular implication as metaphors of tribulation and conquest. The incubator is an ordinary-looking wooden box set on a modular pedestal made of pipes. The candle stand is also designed to foreground functionality.    

In his 2022 version, Beak researches stone lamps in Buddhist temples and visits various temple sites across the country to 3D-scan the lamps, coordinating their shapes to generate new forms that he prints out with 3D printers. The output is combined with pipes to eventually become the base structures of the incubator and candle generator. Stone lamps are also found at government office sites or tombs, but those stationed at temples do far more than simply brightening the premises, instantiating Buddhist teachings as symbolic figures that eradicate humanity’s foolishness by enlightening benighted minds with Buddha’s truth.  The light symbolizes Buddha’s Light; the candles in Beak’s work then, by lighting up the stone lamps as symbols of yearning, complete the cycle of Truth and Desire by going a step further from simply explicating unilateral truth.   

Beak has been studying the meaning of traditional patterns or national rituals such as rain-calling ceremonies by visiting art museums, museums, old palaces, or Buddhist temples and exploring vast bodies of research archives. Through his journey, he began to endow new symbolism upon objects or colors by adding his own interpretation to material properties or conventional beliefs. South Altar, which he presented at Gallery ERD in 2020, instantiates this development. While the dragon symbolizes fire in Western culture, its reference is directed toward water in the Eastern world. When droughts struck, people drew dragons or offered rituals to pray for rain. If the rituals failed, then they conducted a Chimhodu ceremony (putting the head of a tiger – dragons’ nemesis – in the dragon’s abode, mainly rivers) or put a salamander (as a stand-in for the dragon) in a jar and beat it about, agitating the dragon with incantations that threaten sustained captivity unless rain was granted. Noting how dragons dislike not only tigers but also steel, sulphate of soda, centipedes, lotus leaves, and five-colored silk threads, Beak decorates the exhibition hall entrance with designs inspired by centipede’s foot orchid, a plant that looks like centipedes. Like our predecessors who used salamanders as the dragon’s double, he enlists centipede’s foot orchi as a stand-in.  

<Beo-sut Gi-woo>, installed in the exhibition hall, exemplifies the combination of scientific research and traditional beliefs. Botanic studies have found that mushrooms, in the process of propagating through spore dispersion, attract moisture and induce rainfall. Inspired by this fact, Beak creates an altar for mushrooms. He reinterprets alters for ancestral rituals or worship with contemporary technology, using them to cultivate mushrooms. The mushrooms grow throughout the duration of the exhibition, their spores dispersing through the air circulation system. Devising a new format for the traditional rain-calling ceremony by adding new scientifically proven facts, Beak juxtaposes the invisible phenomenon of atmospheric spore dispersion and prayers that aspire to reaching the sky. Using 3D printers to produce the modules to be installed in the tabernacle and candle generator, he appropriates the yellow hue of Vaseline. While he directly enlists the materiality of Vaseline to signal “protection and cure” in their extended functionality in <Untitled (Vaseline Armor)> (2007), a photograph series featuring models donning armor, helmets, and gloves made of Vaseline, and <Pray for Rain> (2015), in which he covers the wall with clay and applies Vaseline to each and every crack, <Beo-sut Gi-woo> endows meaning to Vaseline’s color. The symbolism arises from Beak’s extended material research and instantiation. In the 2023 version of <Candle Generator & Egg Incubator>, he also imbues the stone lamp and candle holder with Vaseline yellow, conveying wishes to successfully overcome hardships and yearnings for the safe birth of life. 


Active Statue

The <Active Statue> series thematically falls in line with his previous work <Memorial Antenna>. The <Memorial Antenna> series, which began in 2011, uses various outdoor metal figures such as statues, bridges, and tanks as radio wave receptors. The series sonically sensitizes not only tangible faculties of the object, such as its location and size, but also invisible aspects such as the properties and density of the material that generate a given frequency. In designing the project, Beak opts for highly symbolic objects, such as statues. The shelf life of statues, which are mainly produced to memorialize a certain person or event, are dependent upon the impact of their models. Statues of a world-saving hero could be disposed in the changing tides of time, or neglected, due to managerial oversight. With their surface layers are peeled off, however, statues are essentially material masses that carry new potentials. By acoustically visualizing latent sound with the statues serving as antennae, Beak prompts the viewers to focus on their materiality rather than the meaning or symbolism of the exterior, soliciting reflections on the meaning of existence.   

After taking a decade to complete his archive, including <Memorial Antenna>, Beak began to introduce new works under the title of <Active Statue> in 2022. In this series, Beak 3D-scans symbolically significant statues from various regions, transforming into and using them as transmission antennato send out the sound he produces. His transition from reception to transmission suggests that Beak has moved beyond simply accepting the cumulated body of knowledge to ‘actively’ conceive new works. The statues, while built in the image of an actual model, are his own variations. Parts of them are crumbling, or new shapes are added. This development appears to fall in line with his approach of compositing various stone lamps in <Candle Generator & Egg Incubator>, and endowing centipede’s foot orchid patterns or Vaseline with new meaning, demonstrating his attempt to arrive at unique reinterpretations and expansions instead of simply embracing traditional meanings.   

Whereas <Memorial Antenna> offers randomly culled frequencies based on the object’s shape, <Active Statue> transmits sounds of his own making. Embracing Jane Bennett’s proposal to challenge preconceived notions of material objectivity and opt for vitalist materiality instead, Beak commissions stories to Jangso Translators (Choi Chuyoung, and Iksoo Kaay), and transmits three short stories they wrote - 52 Hz Whale, a story about a whale who is labeled solitary because he had never been seen and only leaves high frequency (52 Hz) cries in his wake; Master Wonhyo’s Skull, which reinterprets Buddhist master Wonhyo’s fabled tale of drinking water from a skull as the interrelationality with the skull as matter; and Goodbye and Are youthere?, which presents a parrot that keeps reciting inscrutable words, alone on a remote and lonely island. The stories imply humanistic attitudes of attempting to heed the vitality of matter across the sensible and insensible, tangible and intangible. In the 2023 version, Beak gathers six statues together in one place. With their own frequencies, the statues each transmit one of the tree stories, alongside the performance of Cellist Lee Kumhee. The cello is known to operate within a sound range that comes closest to that of humans; they produce sound through the vibrations of tightly pulled metal strings. Generated through metallic friction, cello music could be a sound and language that is closer to the statues, or even matter, than human voices.  


Is of

Charles Sanders Peirce categorizes signs as icons, indices, and symbols based on their relationality with subjects, physical relationships with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s with interpreted bodies. Iconic signs are established as such based on their likeness to the subject, which is configured irrespective of their existence in reality. Symbols are signs that are related to the subject through general types or rules, and are therefore established based on conceptual association. Indices, unlike other signs, have actual relationality to the subjects.  Peirce therefore claims that indices “do not simply resemble the subject, but is a realistic transformation of signs through the subject.”  In Le Photographique : Pour une théorie des écarts, Krauss draws on Peirce’s concept of the index to unpack the properties of analog photographs, claiming that analog cameras are indexical; the light that touches the subject goes through the lens and arrives at the film’s sensitizer to leave afterimages. Photographs however lose their indexical property with the advent of digital cameras. Since the digital camera transforms the light coming through the lens into electric current signals, the image loses its direct connection to the subject, only retaining records converted into 0s and 1s.

Whereas analog cameras optically reflect indexical properties, Beak’s photographs use natural ink to resurrect the indexicality that the digital camera banishes. Said ink, however, lose its color more easily when exposed to light or oxygen because it is more unstable than chemical ink. This volatility was embraced as part of the artistic process in Beak’s earlier iterations. The colored leaves in <Is of: Seoraksan> (2012), for instance, have mostly lost their color since, now merely remaining as faint traces of brown. Since then, Beak began to explore ways to prevent depigmentation. In the <Is of: Autumn> (2018) series, Beak adopts three strategies to this end. First, he uses the impregnation method to bathe the entire photograph in transparent resin (epoxy resin) to prevent contact with oxygen, builds a special box, and further blocks out light with a customized lighting system made of optical cables from which UV light is removed to prevent the acceleration of discoloration. If we were to see photographs as the “instantaneous suspension” of things that change, Beak employs a dual-phase strategy of first prompting change and then suspending them yet again.  Whereas the analog camera warrants the presence of the subject through light, Beak must block out light, because the subject’s presence is in its color.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subject is also tied to Beak’s interest in images. The title ‘is of’was proposed by a colleague during a conversation that took place at Beak’s residency in I-Park Foundation Artist Residency in 2011. ‘Be of’ is an expression used in reference to properties, faculties, source, and character. Enlisting ‘is of’ as the title, Beak adds the location of photography in captions to indicate the subject’s source while omitting the subject itself, gesturing to its absence. This approach is related to what the artist wishes to make the viewers see. The viewers encounter the image in the form of a rather weathered color, and learns from the captions that the ink is custom-produced by the artist. What matters to Beak is the materials that constitute the image, rather than the visible image itself. Exposing the source of the ingredients in the place of image’s illusion, Beak attempts to remove the mythical veil cast upon the image.

Explaining <Is of> simply as natural ink-printed photographs would be an oversight of the artist’s experimentations and labor that went into the pigment extraction process, which Beak achieves by employing the chromatography technique – personally sourcing natural ingredients from Seoraksan and Naejangsan and separating the mixtures. The ink, fused with pigments, alcohol, and emulsifier to suppress bubbles, goes into the printer to generate the photographs. He has now broadened the scope of his sourcing from the vegetation at the photography sites to plants purchased at nearby stores, but this move is intended to expand the spectrum of ingredients to ensure the ink’s quality.  Beak also continues his research on printing techniques to develop and improve measures for evenly spraying natural ink. When exhibiting <Is of: Seoraksan> at Alt Space Loop in 2012, Beak installed the pigment extraction equipment and printer at the exhibition hall as if transplanting his own studio on site, gesturing to the production process while inviting the viewers to sense the materials that lie beyond the image. His choice to display the photographs on wooden panels covered in glass instead of the usual frames is also part of the arrangement, aiming to accentuate the materiality of the components rather than the photographs themselves by compressing the plant samples. 


Homo Universalis

Beak Jungki has been acquiring requisite knowledge for the production of his art work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instantiating them as his own techniques. From his broad-reaching interest across folklore studies, biology, philosophy, and acoustics to pigment extraction techniques, devices that convert heat into electric energy, and even nuclear fusion, Beak never leaves anything from his process unexplained. As noted in his interviews, Beak personally takes part in up to 90% of the work, and is therefore well ver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operation principles.    

This aspect of his art is made further evident upon personally visiting his studio. Remodeled by Beak himself, the former side dish factory site comprises two stories. The first floor houses warehouses for sculpting and installation, and the second floor consists of a sitting room and a library with his computer. The first-floor studio’s lab-like arrangement and the assortment of books on second-floor library shelves immediately command attention. Next to Jane Bennett’s Vibrant Matter stands The Wild Greens of Korea and Producing a Solo Radio Show. Visitors can explore a wide spectrum of topics and fields ranging from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e Fish Ornament Art to Mastering Musical Composition in Eight Weeks and Mushroom Spore Culturing Certification. 

Beak’s approach, thus seen, invokes the Renaissance vision of Homo Universalis from days prior to the division of disciplines. Leon Battista Alberti is an exemplary Homo Universalis from the early years of the Renaissance. A natural-born sportsman, he enjoyed gymnastics and horseback riding, and was exceptionally accomplished – albeit self-taught - musical composer. He studied physics, mathematics, secular law, and even church law, and learned from anyone from any social class including scholars, artists, and shoe repairmen to acquire experience and technique. He produced sculptures and paintings, and wrote across genres to include poetry, short stories, and speeches, some of which are regarded as canonical. Homo Universalis refers to an individual who is proficient in various fields. Academic fields are siloed in our time, and it has thus become difficult to master even a singular technique. Experts of different disciplines make hasty judgments based on their specialized knowledge, and refrain from stepping out of their own bubbles.  Beak accumulates knowledge and techniques he deems necessary, transgressing boundaries to sublate art for art’s sake. In our time when it has become so easy to purchase someone else’s knowledge or technical prowess, he willingly endures the pain of training himself in new fields, constantly expanding his reach. He embraces past culture, contemporary technology, and archived knowledge. This approach invokes the long-extinct vision of Homo Universalis. 

This approach is similar to that of a bricoleur, who personally expresses oneself with limited resources at hand. Unlike engineers who work with concepts by way of teleologically assorted equipment and materials, the bricoleur combines the equipment and resources at hand, and also even creates ones anew.  Beak adds his own ink by dismantling existent printers in<Is of>, while challenging preconceived notions and biases by using statues as antennae in <Memorial Antenna>. The more he accumulates knowledge and technical prowess, the broader his command over themes and forms, becomes. 

The exhibition title All in One is drawn from curator Kwon Hyukgue’s eponymous review of Contagious Magic in 2018. Seeing the solo exhibition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his experiments big and small into a sustainable practice, Beak proposes ‘matter’ as the keyword that encapsulates his aesthetics. His suggestion is based on Jane Bennett’s view of ‘matter’ not as passive objects but vital beings, defining material properties as ‘vital materiality.’  The devices and processes he devises for each work capture the visible and intangible changes and circulations of matter. ‘All in One’ gestures to Beak’s perspectivization of all natural being as part of a unified cycle across the bounds of religion, art, and science. Here, I propose adding his own approach of personally involving himself in all steps of production. ‘All in One’ becomes semantically whole only when applied to the aspect of praxis in which the artist conceptualizes and produces the artwork, in addition to the conceptual and thematic layer.

Yoo Eunsoon (Aesth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