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o-sut Gi-woo

Beo-sut Gi-woo 
Mushrooms, Plastic(3D Printed), Air circulation system, Growing lamp, Humidifier, Glas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20


Beo-sut Gi-woo 
Mushrooms, Plastic(3D Printed), Air circulation system, Growing lamp, Humidifier, Glas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20


Beo-sut Gi-woo 
Mushrooms, Plastic(3D Printed), Air circulation system, Growing lamp, Humidifier, Glas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20


Beo-sut Gi-woo 
Mushrooms, Plastic(3D Printed), Air circulation system, Growing lamp, Humidifier, Glas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20


Beo-sut Gi-woo 
Mushrooms, Plastic(3D Printed), Air circulation system, Growing lamp, Humidifier, Glas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20


Beo-sut Gi-woo 
Mushrooms, Plastic(3D Printed), Air circulation system, Growing lamp, Humidifier, Glas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2020


2017년 저명한 식물학자이자 <Mushrooms: A Natural and Cultural History>의 저자인 니콜라스 머니(Nicholas Money)는 그의 책에서 버섯과 관련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비가 자주 내리는 습한 환경이 버섯의 생장률과 개체 수를 증가시킨다고 생각해왔는데, 저자의 주장은 오히려 버섯이 비를 더 내리게 함으로써 그들에게 적합한 환경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이었다. 즉, 버섯이 많은 지역일수록 그 지역의 강수량은 증가하는 것이다.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버섯의 번식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버섯은 균이 군집하여 생성된 균사체로써 생식세포인 포자를 공기 중으로 흩날려 번식을 한다. 포자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고, 바람을 타고 최대 2000km 정도 이동한다고 기록될 정도로 매우 가벼우며, 수분을 끌어당기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포자의 이러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공기 중에 수증기 상태로 존재하는 수분을 응결시키는 핵(Condensation Nucleus)으로 작용케 한다. 즉, 버섯의 포자가 아직 빗방울이 되지 못한 기체 상태의 수분(구름)을 만났을 때, 주위의 흩어져있던 수분을 끌어당겨 뭉침으로써 결국 하나의 빗방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버섯에서 분리된 포자가 긴 여행을 통해 결국 하늘에 다다라 수증기 상태의 물 분자를 빗방울로 변화시키는 과정은 한편으로 매우 종교적이다. 눈에 보이지 않고 잡히지 않는 무언가가 하늘까지 도달해서 실제의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과정은 ‘기도와 응답’이라는 알고리즘을 떠올리게 한다. 흔히 기도를 통해 전달되는 우리의 염원은 눈으로 볼 수 없고 만질 수 없는 정신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과도한 비약이겠지만, 그것이 분명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실생활에서 감각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단지 그들이 너무 작고 가볍기 때문이 아닐까? 마치 현대물리학에서 물질의 최소 단위로 규명하는 원자처럼 혹은 버섯의 포자처럼 말이다. 이번 전시 <남단>에서 나는 종교와 과학, 정신과 물질의 이분법적 사고의 짙은 경계를 기우의례(비를 부르는 제사)라는 형식을 통해 희석시키고자 한다. 전시장의 중앙에 자리잡은 작품 <버섯기우>(2020)는 감실(龕室)을 모티브로 한다. 감실은 본래 조상이나 신을 안치시켜 모시는 작은 제단을 지칭하는데, 그 형태는 지붕을 갖춘 작은 집과 같다. 주로 사당에 설치되었으며, 그 앞에서 마을의 풍년을 기리거나 액(厄: 고통이나 병고)을 방지하기 위한 제사를 지내곤 했다. 이 작품은 이러한 감실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안쪽에 안치된 버섯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수분과 빛 등을 공급하는 일종의 온실이며, 버섯의 포자가 밖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순환기도 갖추었다. 나는 기도와 응답이라는 종교적 알고리즘을 버섯의 포자가 하늘로 이동하고 수분을 끌어당겨 물방울을 생성시키는 과정과 병치시킴으로써, 비물질적 현상에 대한 물리적 해석을 시도한다. 또한 비가 자주 내리는 습한 환경이 버섯을 자라게 하는 필수 요인임이 분명하지만, 동시에 버섯 스스로 그러한 환경을 주도한다는 니콜라스 머니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신과 인간, 자연과 인간의 상호유기적 관계를 환기한다.


In 2017, Nicholas Money, a renowned botanist and author of “Mushroms: A Natural and Cultural History”, published an interesting study on mushrooms in his book. In general, we have thought that the wet environment with frequent rain increases the growth rate and population of mushrooms, but the author’s argument was that the mushrooms turn their environment into a wet environment by bringing more and more rain. In other words, the more mushrooms in the region, the greater precipitation the region has. To understand this mechanism,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process of mushroom reproduction. Mushrooms are mycelium produced by clusters of fungi that propagate by scattering spores, which are reproductive cells, into the air. Spores are so small that they are invisible, very light enough to be recorded to travel up to 2000 kilometers in the wind, and have the property of attracting moisture. Thes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pores act as a condensation nucleus that condenses moisture present in the air as water vapor. In other words, when the spores of mushrooms encounter gaseous moisture (clouds) that have not yet become raindrops, they attract and agglomerate the moisture scattered around them, eventually creating a raindrop. The process by which the spores separated from the mushrooms eventually reach the sky through a long journey and transform water molecules in the state of vapor into raindrops is, on the one hand, very religious. The process of something invisible and unobservable reaching the sky and producing actual results reminds us of an algorithm called ‘Prayer and Response’. Our desires, conveyed through prayer, are regarded as spiritual, which cannot be seen and touched. It's an excessive leap, but isn’t the reason we don't feel them sensibly in real life despite its obvious existence just because they're too small and light? Just like an atom in modern physics that identifies as a minimum unit of matter or a spore of a mushroom. In this exhibition, I want to dilute the thick boundaries of dichotomous thinking of spirit and matter through the form of ritual for rain. The work, <Beo-sut Gi-woo> (2020),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xhibition space, is inspired by the motif of Gam-sil. Gam-sil originally refers to a small altar where ancestors or gods are enshrined, which is like a small house with a roof. It was mainly installed in a shrine, where rituals were held to honor the good harvests of the village and to protect against evils (disease). In the exhibition, the work has this form of Gam-sil, but is actually a kind of greenhouse that supplies the moisture and special light needed for the growth of mushrooms placed inside, and it also has an air circulation system to allow the spores of mushrooms to move outside. I attempt a physical interpretation of non-material phenomena by juxtaposing the religious algorithm of prayer and response with the process of mushroom spores moving into the sky and drawing moisture to produce water droplets. Also, the wet environment, which often rains, is clearly an essential factor for mushrooms to grow, but at the same time, citing Nicholas Money's research that mushrooms themselves lead such an environment, evokes the mutual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