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기억 : 백정기의 접촉주술
인도의 성스러운 강, 강가(Ganga; 갠지스 Ganges)는 비슈누 신의 연꽃 모양 발에서부터 솟아 나와 하늘나라를 흐르는 은하수였다가 시바 신의 헝클어진 머리 타래를 타고 땅으로 내려온 물줄기라는 전설이 있다. 인도 대륙에서도 손꼽히는 성지인 이 강의 물을 마시거나 이 물로 목욕을 하면 세상의 더러움, 외양은 물론 더럽혀진 영혼과 업(Karma)까지도 씻어내는 효험이 있다고 세속의 인간은 믿는다. 종교의식에서 물이 정화(淨化)의 의미로 쓰이는 것은 비단 힌두교에서만이 아니다. 일본의 신사를 들어설 때면 데미즈야(手水舍)에서 몸과 마음의 때를 씻어내고 신 앞에 나아가며, 천주교에서는 성수(aqua benedicta)를 뿌려 축성하고, 우리 어머니들은 이른 새벽 첫 우물물로 정화수를 길어 치성을 드리기도 하였다. 마음에 품고 기원하는 대상은 다를망정, 물은 삶과 죽음, 물질과 영혼, 성과 속, 천상과 지상을 잇는 매개였다. 그런데 여기에 줄곧 궁금증이 남는다. 온 세계에서 물에 씻어낸 더러움은 대체 어디로 가버리는 것일까.
공교롭게도 지난 십여 년간 백정기의 활동을 살펴보면, 그의 작업은 꾸준히 변모해왔음에도 작품의 상당수가 물을 다루고 있다. 마르지 않도록 바셀린을 발라 물을 가두고, 기우제로 단비를 부르며, 그도 아니라면 각종 실험 도구들로 물을 분석하고, 희석하고 또 정제한다. 그가 그토록 물을 통해 찾고 있는 것은, 여전히 세상에서 설명되지 않는 ‘무엇’이다. 과학의 설명도 구해보고 주술적 의식에도 빌어보지만, 그래도 세상은 아직 불가해한 일로 가득 차 있다. 세상의 본질이자 원리라고도 할 그 ‘무엇’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어, 백정기의 예술은 바로 이 ‘알 수 없는’ 커다란 세상을 총체적으로 탐구한다. 그리고 물은 곧 그에게 세계를 이해하는 단서이자 동시에 세계를 하나로 이어주는 연결고리이다.
백정기의 이번 개인전 《접촉주술》도 물을 다루는 일에서부터 출발한다. 미술관의 입구에 들어서면 물의 신인 용(龍)이 한껏 전시장을 받쳐 들고 있다. 아무도 실체를 본 적이 없기에 ‘상상의 영수(靈獸)’라고 일컫는 용이지만, 옛 건축물의 장식이나 복장, 하다못해 오늘날에는 누군가의 몸에 그려진 문신으로 수시로 보이는 구체적인 이미지로 익숙한 존재이다. 반쯤은 허구에서, 나머지 반쯤은 실생활 속에서 마주하는 용에게 치수(治水)를 구하는 선인들의 방법은 크게 두 방식이었다고 한다. 하나는 용에게 정성을 들여 비바람을 부르거나 잠재우는 것이고, 또 하나는 용을 도리어 괴롭히고 자극하여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허무맹랑해 보여도 때때로 이런 기우제가 정말로 작용하였다니, 적어도 영험 하다고 옛사람들은 믿었다니, 사뭇 지금과는 다른 앎과 믿음의 체계이다. 백정기는 이 전시에서 기우제라는 의식을 오늘날로 소환하여, 3D 프린터로 제작한 용두(龍頭)와 건축용 비계를 세워 가상의 용소(龍沼)를 전시장에 구현한다. 과거를 답습하거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전시장을 실제적이면서도 주술적 장소로, 일종의 상징 공간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사실 물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많은 정보가 들어있다. 그의 연작은 어느 특정 현장의 물에 담긴 자연적/환경적 성분을 염료로 전환하는 실험이다. 그 중 (2013-) 은 서울의 대표적인 풍경을 프린트한 작업으로 적 양배추에서 추출한 시료로 직접 리트머스지를 만들고, 여기에 한강 물을 잉크로 사용했다. 익히 알려진 대로 리트머스는 산성과 염기성을 측정하는 지시약이다. 한 도시를 흐르는 강의 산/염기도는 이 물이 어디에서 흘러 들어왔는지, 비는 얼마나 내렸는지, 오염도는 어떠한지, 무엇이 강을 오염시키는지, 여기에는 얼마나 많은 인구와 산업체가 관여하는지 등 여러 환경 요인과 행위 주체에 대한 정보를 함유한다. “물은 기억한다 (water memory)”는 구절로 요약되는 저장소로서의 물의 특성은 동종요법 (homeopathy) 에서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치료에 활용하고 있다. 많은 양에 노출될 때에는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지만 적은 양은 치료에 사용되는 방사능처럼, 동종요법은 질병 원인과 같은 물질을 극소량 사용하여 신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다량의 물에 희석된 독은 더는 독으로 작용하지 않고, 오히려 몸의 면역 기능을 촉진하는 약이 된다. 백정기의 (2017) 는 이와 같은 동종요법을 적용한 작업이다. 유독한 물질을 희석하고 정제하여 약으로 만드는 과정을 영상과 설치 작품으로 보여주는데, 관찰력이 좋은 관객이라면 이 작업에 쓰인 원료 봉지에 ‘녹은 플라스틱’이라 적힌 화면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플라스틱을 사람이 먹어도 되나, 아니, 그전에 저 재료는 무슨 사연으로 또 어디에서 구했단 말인가 하는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게끔 하는 장면으로, 실은 이 작업은 작가가 실제 화재 사고의 현장에서 직접 채집해온 검은 재를 물에 풀어 그 성분을 정제하여 약을 만드는 시도이다. 물에 독을 씻어낸다고 할 수 있는 이 과정에서 ‘독’은 단지 물질적인 잔재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화마(火魔)가 불러온 아픔이나 슬픔, 공포, 원망, 회한과 같은 모진 마음의 독까지도 풀어내는 심리적 제의이다.
다시 이 글의 서두에서 던진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면, 씻어낸 더러움은 어디로 가는가? 그것은 여전히 물속에 있다. 다만 그것이 천 배, 만 배 희석되어 ‘더럽다’는 경계를 녹여내며 다른 곳에서, 다른 기능으로,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 갔을 테다. 어느 지표면을 흐르며, 어딘가에 고이고, 누군가의 몸으로 흡수되며 말이다. 결국 우리는 같은 물을 조금씩 나누어 가진 존재들이다. 기억의 보관소인 동시에 물질/ 영혼의 전환소이자 공유소인 물을 백정기는 (2019)이라는 생물학적인 메타포로 담백하게 제시한다. 이 작업에서 그는 ‘자, 여기, 지구상의 포유류 샘플이 있는데 그 라벨에서 보다시피 저마다 다른 특징을 지닌다. 하지만 이 여러 종의 생명체는 물이라는 접점을 통하여 공시적일 뿐만 아니라 통시적으로도 연결되어 있다.’는 고찰을 거시적으로 보여준다. 물은 어디에나 있다,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유리병에 담겨 바로 당신의 눈앞에, 그리고 당신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대류 안에도, 심지어 당신의 살과 뼈 속에도. 결국 물의 기억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다만 어딘가에 저장될 뿐.
이번 전시에서 시종 일관된 관점을 제시해온 백정기가 피날레로 선택한 작품은 (2017)이다. 이번에는 가을 명산에 알록달록 단풍이 든 잎사귀로부터 잉크를 추출하여, 그 산을 찍은 풍경 사진을 출력했다. 실제 가을 산의 풍경이 가공되어 사진 속 풍경으로 전이되는 이 작품은, 안타깝게도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그 색이 바랜다. 아무리 자외선을 차단하고 아크릴수지에 담가 산소와의 접촉을 방지하더라도, 그 변화를 지연시킬 뿐 완전히 변색을 막지는 못한다. 하지만 사라진 색의 성분도 아마도 어딘가에 남겨져 있을 것이다. 한 인간이 감지할 수 없는 저 큰 시공간의 소용돌이 속 어느 곳에. 우리가 설명하지 못할 일이 세상에는 너무도 많기에 우리가 아는 것이 정말 ‘아는’ 것일까, 우리가 우연이라고 치부하는 일들이 진짜로 ‘우연’일까, 어느 큰 맥락에서는 모두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는 규칙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아닐까? 백정기는 내내 이와 같은 근원적 질문을 던지며 답을 구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건축적인 구조나 과학 기초 이론,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실험이 기반하기도 하는데, 물론 세인의 눈에는 전시장에 놓인 파이프와 시험관, 기다란 호스와 시약 따위가 생소할 수는 있겠으나, 이는 그 스스로 답을 얻기 위해 선택한 방법론적 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크게 본다면 과학이니 주술이니 예술이니 철학이니, 그런 차이가 다 무어란 말인가. 지구의 나이 46억 년 중 인류가 출현한 것은 길게 잡아도 고작 5백만 년, 그 중 한 사람의 생은 어림잡아 80년, 그야말로 티끌보다 작은 정도만을 차지하고 있다. 당연하게도 우리가 아는 것은 지극히 일부분일 터, 우리는 단지 우리가 만지고 스쳐 지나간 모든 것들로부터 맞닿아 접촉주술에 걸려 있는지도 모르겠다. 백정기의 작업이 우리의 시선을 오래도록 잡아두는 것은 그것이 상식으로 당연하게 여겨온 우리의 인식에 의문을 품게 하며, 어렴풋이 감지되는 근원적 에너지나 힘, 불가항력적 존재에 대하여 환기하기 때문이다.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영혼에 이르는 물, 이곳에서 저곳으로 유연히 흐르는 물처럼 그의 작업 역시 이 사람에서 저 사람에게로 전달되며 예술이라는 이름의 주술을 걸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그의 주술에 기꺼이 현혹되어 보는 것은 어떨까. 이번 전시가 백정기가 취하는 마법의 언어와 행위로 우리를 ‘전염’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김소라 (OCI미술관 수석 큐레이터)
The Memory of Water: Contagious Magic of Jungki Beak
The legend has it that the Ganga (Ganges), the sacred river of India, sprang up from the lotus shaped feet of Vishnu, became a galaxy flowing through heaven, and then came down to the earth along the tangled locks of the hair of Shiva. Secular people believe that if you drink or bathe in the water of this river, which is one of the most sacred places in the Indian subcontinent, not only the dirt of the body but also the soiled soul and Karma will be washed away. It is not only in Hinduism that water is used for purification in religious ceremonies. When entering a Japanese Shinto shrine, people wash the dirt of their body and mind at temizuya (手水舍) before moving toward God. Catholics consecrate with aqua benedicta or holy water. Our mothers offered devout prayers early in the morning with water freshly drawn from wells. Even though the object of worship may be different, water has been a medium between life and death, matter and soul, sacred and secular, and heaven and earth. Yet there is always a question that arises. What happens to the dirt that is washed away by water all throughout the world?
Coincidentally, if we look at the activities of Jungki Beak over the past decade, many of his works continue to deal with water even throughout the steady changes in his art. He applies Vaseline to hold water so that it does not dry out, calls down much-needed rain with a rain pray, or he analyzes, dilutes, and refines water with various laboratory apparatus. What he is anxious to find in water is ‘something’ that has not yet been explained to the world. Sometimes he seeks scientific explanation and sometimes he prays in magical rituals, but the world still abounds with incomprehensible things. Jungki Beak’s art explores this enormous ‘unknowable’ world in its entirety, because he cannot exactly grasp the essential nature and principle of the world. Certainly, water is a clue to an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simultaneously a link that connects all.
Jungki Beak’s solo exhibition Contagious Magic also starts with water. When you pas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museum, you will be met with the figure of a dragon, which is a deity of water, holding up the exhibition hall. The dragon is called a ‘spiritual beast of imagination’ because nobody has ever seen it, but most are familiar with it through its depiction in the decorations of old architecture or costumes, or as a tattoo on someone’s body. The dragon was partially a fictitious animal, and partially an entity encountered in the everyday reality of the people of the past. They turned to the animal when they sought to solve the problem of water control mainly in two ways: the first was to offer heart-felt prayers to the dragon to call or calm the rain and wind; the other was to drive the dragon to move by teasing and provoking the dragon. This may seem absurd, but occasionally the pray for rain is said to have really worked, and our ancestors believed that it had some miraculous effect. It is quite a different system of knowledge and belief from today’s. Jungki Beak summons the pray for rain to the present and produces a numbers of Yongdu (龍頭, dragon head literally) made with a 3D printer and the scaffolding for building construction to materialize a virtual Yongso (龍沼, pond where the dragon lives) in the exhibition hall. This is not intended to follow the past or reinterpret the tradition in modern terms. It is about transforming the exhibition space into a practical and magical place, into a kind of symbolic space.
In fact, water contains a lot of information tha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His Is of series is an experiment that converts the natura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water from a specific site into pigments. Among the series, Is of: Seoul (2013-) is a print of a typical scenery of Seoul. Beak made litmus paper from specimens extracted from red cabbage, and used water from the Han River as ink for the paper. As is well known, litmus is an indicator of acidity and alkalinity. The acidity/alkalinity of a river that flows through a city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t has undergone: from where did this water flow in, how much rain has fallen, how severe the pollution is, what pollutes the river, and how many people and industries are involved in the region. Characteristics of water as a repository summarized in the phrase “water memory” are actively accepted in homeopathy and used for treatment. Like radioactivity that can be a cause of cancer under extended and intensive exposure, but which can also be used for treatment under short and controlled exposures, homeopathy is a therapeutic method of increasing the natural healing power of the body by using a very small amount of the same substance as that which causes the disease. The poison diluted in large quantities of water no longer acts as a poison, but rather works as a medicine that aids the immune function of the body. Jungki Beak’s Materia Medica: Cinis (2017) is an application of homeopathy. By means of a video and installation, the work shows the process of diluting and refining toxic substances into a drug. If you are an observant viewer, you will find on the video screen the label “melted plastic” written on the bag containing the raw material used for this work. This is a scene that continues to raise the question, ‘Can people eat plastic?’, or, before that, ‘How and where did he get that stuff?’ In fact, this work is an attempt to dissolve the black ashes which have been collected directly from a site of an actual fire accident, and refine the components to make up a medicine. In this process of ‘washing’ the poison with water, ‘poison’ does not just mean a material residue. This is a psychological rite that dissolves the poison of the bitter heart that of the pain, sorrow, fear, resentment, and remorse caused by the fire.
Let’s go back to the question raised at the beginning of this essay, ‘What happens to the dirt that is washed away by water all throughout the world?’ It is still in the water. Yet, it would have been diluted tens of thousands of times, diluting the idea of it being ‘dirty’ and having changed from one place to another to have another function and appearance. It would flow upon the surface of the earth, fill a space somewhere, and eventually be absorbed into someone’s body. After all, we all have a little bit of the same water. In a biological metaphor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2019), Jungki Beak plainly presents water, which is a repository of memories, as a place of conversation and sharing of matter and spirit. In this work he exhibits his reflections on a macroscopic level: ‘Well, here are the samples of mammals on Earth, and as you can see on the labels,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these organisms are both diachronically synchron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on denominator that is water.’ Water is everywhere, in glass bottle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right in front of your eyes; even in the invisible convection currents and in your very flesh and bones. After all, the memories of water do not disappear, but is only stored somewhere.
Is of: Fall (2017) is the finale of this exhibition that has presented a consistent perspective. This time he extracted ink from the colorful autumnal leaves of the autumn mountain and used it to print a photograph capturing that very mountain. The actual autumn mountain scenery is processed to be transformed into a landscape in the photo, but unfortunately the colors fade as time goes by. No matter how much the photo is shielded from ultraviolet rays and immersed in acrylic resin to prevent contact with oxygen, the change can only be delayed and not completely prevented from discoloration. Yet the missing components of the colors are probably left somewhere, somewhere in the vortex of the immense time and space a human being cannot possibly perceive. There are so many things in the world that we cannot explain, do we really ‘know’ what we think we know? Is it really a coincidence that which we think is coincidence? In some big context, is not all of this happening within the rules in which everything is already programmed? Jungki Beak has been asking these fundamental questions all the while in his search for answers. In the process, he uses architectural structures, basic scientific theories, and empirical and concrete experiments. Of course, people might be unfamiliar with the pipes, test tubes, long hoses, and reagents placed in the exhibition hall, yet they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ological strategy chosen by the artist in his search to find the answer. Viewed in a larger contex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cience, magic, art, and philosophy? Of the 4.6 billion years in the existence of the Earth’s, humans have only existed 5 million years at the longest. In this period, the life span of a person is roughly 80 years, accounting for a time period that is as little as a speck of dust. To be sure, what we know is infinitely small. Probably we are only under the spell of contagious magic because we were in contact with all the things we happened to touch and pass by. Jungki Beak’s work keeps our attention for a long time because it raises doubts over our perception of what we have taken for granted and evokes our awareness of some fundamental energy or force, and some inscrutable presence that are only dimly perceived. Like water, composed of physical elements yet reaching the sphere of the soul, like water flow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his work casts a spell over us and passes from person to person. How about we immerse ourselves in the reverie of his spell? It is my hope that this exhibition will be able to ‘enrapture’ us through the magic of the language and acts offered by Jungki Beak.
Sora Kim (Chief curator, OCI Museum of Art)